여성친화도시 개요
지역정책 전반에 여성의 요구를 반영하고, 여성의 농동적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여성의 삶의 질 제고 및 행복한 지역 공동체가 구현되는 완결된 행정단위
여성친화도시의 의미
- 여성친화도시는 지역 정책의 성 주류화를 의미함
- 지역사회 전반의 성 평등한 전환
- 여성의 정책 참여와 정책 내 성 평등 관점포함 등 성 주류화를 통한 지역 사회 전반의 성 평등한 전환
- 정책 결정에 여성참여 보장
- 적극적 주체로서의 시민 양성 민-관 거버넌스 구축으로 지역정책 내 여성의 일상
- 경험과 요구를 통합한 진정한 주민체감 행정 촉진
- 부서 사업의 성 평등한 개선
- 기존 사업에 여성 요구를 반영한 성 평등한 개선 추진
- 성 평등에 기반한 지역 특화 사업 발굴
여성친화도시 조성방향
01성 평등 정책 추진 기반 구축
- 모든 부서에서 성 평등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 여성친화도시 사업 추진을 위한 법·제도 정비
- 양성평등정책 추진 부서 설치
- 양성평등정책부서를 중심으로 한 부서 간 협력
- 지역 여성 참여를 보장하는 거버넌스 구축
- 성별영향평가, 성인지 예산 활성화와 성인지 통계 구축
- 공무원 성인지력 향상 교육
02여성의 경제·사회 참여확대
- 여성의 취·창업 활성화
- 지역 산업과 연계된 직업훈련 및 취·창업 지원
- 근거리 일자리 발굴과 여성의 사회적 경제 활동 촉진
- 여성 고용 안정을 위한 지역사회 책무성 확대
- 지역사회 유관기관 협력 체계 구축
- 여성 고용 창출 및 고용 안정 목표 공시 및 지속 모니터링
03지역사회 안전 증진
- 각종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지역 환경 조성
- 여성 및 사회적 약자의 통행 특성 반영한 이동 여건 조성
- 도시기반시설, 공공이용시설, 주거단지에 사회적 안전장치 마련
- 여성과 사회적 약자의 안전 역량 강화
- 지역사회 위험에 대한 여성의 대처능력 향상
- 여성의 지역 안전 유지 역량 강화
04가족친화 환경조성
- 양성평등 고용환경 조성
- 여성의 경력 유지와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
- 여성친화적 근무환경 조성
- 가족친화 기업 활성화
- 돌봄에 대한 지역사회 책임 강화
- 돌봄 서비스 내실화와 돌봄 인프라 접근성 향상
- 마을 단위 돌봄 확대
05여성의 활동역량 강화
- 지역 사회 여성 활동 확산
- 다양한 분야의 마을 여성 모임 활성화와 커뮤니티 활동 공간 확대
- 지역 사회 여성 활동 연계를 위한 네트워크 활성화
-
- 모든 분야의 여성 대표성 증진을 위한 조치
- 단체 및 자원활동 등 지역사회 여성 활동의 사회적 가치 인정
- 지역사회 내 공식적인 의사결정 기구 참여 확대
여성친화도시 사업현황
- 울산지역최초 여성친화도시 지정 (2016.12.09.)
- 여성친화도시 주민참여단 운영 등 민관협력체계 활성화
- 주민, 공직자 워크숍 및 교육을 통한 여성친화도시 정책 확산
- 여성친화도시 조성 사업과제 추진 관리 : 6대분야 36개 사업
- 위원회 여성 참여 확대
여성친화도시 조성 5개년 추진계획 (2017년 ~ 2021년)
- 2017년 정책형성 : 주민리더 구성·운영, 가이드라인 구축, 추진참여단 정비, 정책형성 주민 교육
- 2018년 정책확산 : 민관거버넌스 사업 공모, 롤모델사업 발굴, 정책형성 주민 교육, 자체평가 실시
- 2019년 정책성숙 : 조성협의체 개최, 정책형성 주민 교육, 자체평가 실시
- 2020년 정책심화 : 정책형성 주민 교육, 롤모델사업 발굴, 자체평가 실시
- 2021년 환류평가 : 조성협의체 개최, 정책형성 주민 교육, 여성친화도시 재지정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