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성동은 영조 41년(1765)년에 증성리라 하였던 마을이다. 1849년경에는 학동리라 하였다가 고종 31년(1894)에는 학남동과 학서동으로 갈라졌으나 1914년의 행정구역개편 때 두 마을에 노하동과하부면 서부동의 일부를 합하여 학성동이라 하였다.
학성동촌명 변천일 변천일동
영조41년 (1765) : 증성리
1849∼1870 : 학동리
고종31년 (1894) : 학남동, 학서동
1911년 : 학남동, 학서동
1914년 : 학성동
갈화
갈화라 하는 이름은「굴불인 듯 하나 지금 울주」라 하여 삼국유사에 유일하게 나타난다. 이 갈화를 봄에 있어 굴화 지방의 굴아화로 보다는 굴아화의 영역 안에 있었던 학성을 중심한 지금의 울산지방으로 보고자 한다. 「갈」은 「갓」의 차자로 보는 것이며「화」은 「發(발)·八(팔)·弗(불)·沸(비)·佛(불)·不(부)·伐(벌)·不離(불리)·卑離(비리)·夫里(부리)」등과 같은 국읍 또는 원야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이 되어「개지변」이나「계변성」과 같은 것이 된다
개지변
개지변은 신라때 학성 지방의 성읍이었다.
고려사의 기록에 비로소 개지변이 나타나며 이는 학성을 중심한 울산지방을 말하는 것이며 곧 갓 과도 같은 것이라 짐작한다. 「개」는 옛지명의 음차용례에서 일반적으로 「」의 음전한 「그·거」에 사용되어 신과 왕을 이르는 「·금·검」의 상반음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개지변」의 「개」도 이는 신의 뜻 「·검·곰·금·」의 차자로 보아 그 음은 「」이다. 「지」는 산 또는 고원을 이르는「티」와도 같은 것이다. 「변」은「」으로서 변새를 뜻한다. 그러므로 「개비변」은「」으로서 변방의 신산이라는 뜻을 가진 것이다. 그런데 「개지변」을 종전에는「개지극당」의 한 부대가 지키는 변방으로만 보아 왔으나 양자가 모두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계변성」과도 같은 뜻을 가진 이름이다.
개변성
계변성은 「」을 한식으로 고친 이름일 것이다. 이 계변성의 이름은 고려사 지리와 세종실록 지리에 처음으로 각각나타난다. 「계」는「개지변」의 「개」와 같이 신을 뜻하는 「」로 본다. 「개」를 「계」와 통용한 용례는 아래에서도 볼 수 있다. 「변」은「개지변」의 「변」과 같이 변방을 지칭한다. 「성」은 이를 협의적으로 보았을 때 성채를 뜻하는 것이나 광의로 볼 때는 고을을 의미하는 것이다. 옛날에는 성채가 곧 한 고을의 단위가 되어왔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성」을 고을로 보아야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계변성」이란「」로서 역시 신령스러운 갓고을의 뜻을 가져 「개지변」과도 같은 의미를 가진 것이다.
신두산, 학성
신두산은 지금의 학성공원을 말한다.
신은 , 두는 머리, 이는 우리 국어 마리(종) 마리(동) 마루등과 같은 어원을 가지며 극소 내지 정상을 의미하는 것이며 신라의 왕칭 마립과 고구려의 관직 막지리와도 같은 것으로 보인다. 두가 붙은 산들은 많아 이들은 모두 신성한 산임을 나타내며 백두산을 비롯하여 강화도의 마니산 부산의 용두산등이 그러하다. 이렇게 볼 때 신두산은 마리뫼로서 신성한 신산의 뜻을 가진 것이며 개지변이나 계변성의 개·계가 신의 뜻을 가진 「」가 됨도 다 이 마리로 말미암은 것이다.
이 마리뫼에 계변천신이 학을 타고 내려와서 고을 사람들의 생명과 재산을 주장하였다하여 이를 신학성 또는 학성이라 불렀으며 고려 성종 때에 울산의 별호를 학성이라 하였다. 또 신두산은 붓과 같이 솟았다하여 필봉이라고도 하였다. 한편 김영수는 머리뫼를 아래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머리뫼란 말은 높은 웃머리되는 산인데 이것을 한자로 「頭里山(두리산)·磊山(뇌산)·馬山(마산)」이라 썼다. 그 산아래 사는 사람들이 매일 조석으로 쳐다보면서 저 산은 햇빛의 조림을 제일 먼저 받을 만큼 가장 높은 우두머리겪인 산이라 하여 마리뫼, 머리뫼라고 불러옴으로부터 발생한 말이었으며 이 머리뫼라는 산명은 다분히 그 마을의 머리인 진산 즉 주룡산의 이름으로 부르는 것이라 하였다. 지리산의 일명 두류산이나 다운동의 말미등·삼남면 신화리의 말미등도 이 머리뫼를 뜻하는 지명이다.
시루성
계지변이나 계변성에 성채가 있었다면 신두산에 있었을 것이다. 신라때의 성채란 것은 조선조의 읍성과 같은 것은 볼 수 없고 험요한 산에 성을 쌓은 산성이었다. 학성지방에서는 신두산을 두고 달리 쌓을 만한 요지를 찾을 수 없는것이면 다른 곳에는 성다운 흔적을 남긴 곳이 없다. 임진왜란 때 왜군이 와서 이곳에 성을 쌓은 것이 시루를 엎은 것 같다하여 시루성이라 불렀다. 울산지방에 시루를 엎은 것 같다는 시루성은 전하동의 방어진산성과 상북면 등억리의 과부성이 있으며 신불산의 단조성은 단지성이라 한다. 영조 때 증성리하 하였던 지명도 이 시루성 아래에 있었으므로 그렇게 부른 것이다.
도산성
이 도산성은 정유재란 때의 격전지이다. 왜군들이 울산읍성과 병영성을 헐어서 이 왜성을 쌓았다. 선조 30년 12월 23일부터 31년 1월 4일까지의 1차 전투와 31년 9월의 2차전투에서 조명연합군이 맹공을 퍼부어 성밖의 적진은 이를 격파 하였으나 계속된 포위 공격에도 이를 함락 시키지는 못한 한스러운 왜성이다. 남쪽은 태화강에 닿았고 들 가운데 섬처럼 고립한 성이었으므로 도산성이라 한 것이다.
사적 9호
울산학성은 사적 9호로 지정되어 있다.
도산선소
임진왜란이 끝이 나자 도산에 전선창인 선소를 두어 배를 만들어 왔으나 토사의 중적으로 뱃길이 막힘으로 효종 7년(1656) 에이를 개운포로 옮겨 갔다.
나발등
학성공원의 동쪽을 나발등이라 한다. 이는 도산의 산세가 동쪽으로 나팔과 같이 뻗어내렸다하여 부르게 된 이름이다.
역전
울산역이 되고부터 그 북쪽 일대를 역전이라 부른다.
학성산
학성공원의 서북에 있는 산을 학성산이라 한다. 단지 학성에 있는 산이라 하여 그렇게 부를 따름이다.
푸지샘
학남에 있었던 우물인데 수량이 풍부하고 물맛이 좋아 이름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물이 넉넉하고 푸지다하여 푸지새미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