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래를 위한 구체적 약속을 공개하는 방식으로 책임성을 담아 문서로 선언하는 것입니다.
매니페스토(Manifesto)의 어원은 라틴어 마니페스투스(manifestus)입니다. 당시에는 증거 또는 증거물이란 의미로 쓰였습니다.
이 단어는 이탈리아로 들어가 마니페스또(manifesto)가 되었는데, 그때는 과거 행적을 설명하고, 미래 행동의 동기를 밝히는 공적인 선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같은 의미로 1944년 영어권 국가에 소개되었고, 이 단어를 오늘날 우리사회가 쓰고 있는 것입니다.
즉, 매니페스토(Manifesto)는 개인이나 단체가 대중에 대하여 확고한 정치적 의도와 견해를 밝히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예산확보, 구체적 실행계획 등에 있어 이행이 가능한 선거공약의 의미로 주로 쓰입니다.
매니페스토는 출마자와 유권자 간의 사회적 계약입니다. 출마자는 구체적이며 책임있게 약속하고, 유권자들은 출마자가 약속을 잘 지키는 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하는 운동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제4회 지방선거에서 최초로 매니페스토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을 S, M, A, R, T 총 5가지의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S는 구체적(SPECIFIC), M은 측정가능(MEASURABLE), A은달성가능(ACHIEVABLE), R은 정책이 타당(RELEVANT), T는 시간계획포함(TIMED)이란 뜻입니다.
이렇게 평가된 결과는 차기 선거에의 반영을 통해 공약이행에 대한 책임을 물음으로써 한국의 선거문화를 정책중심으로 바꾸어 나갈 것입니다.